저 먼나라 섬에서 맞이한 광복절 아침이었다.
화면 아래로 속보가 흘렀다. 대통령의 서명 몇 줄이 사람의 운명을 바꾸고, 한 사회의 기억을 다시 쓴다. “사면.” 이름은 관대함을 닮았지만, 그날의 공기는 묘하게 싸늘했다. 조국과 윤미향—한때 ‘정의’를 외치던 얼굴들이 다시 제자리로 불려드는 순간, 우리는 그 단어의 표정이 얼마나 쉽게 변하는지 보았다. 표면의 말은 빛을 받았지만, 그 말을 떠받치는 뿌리는 어디에 있었을까. 사면은 ‘국민 통합’이라는 말과 함께 발표되었지만, 많은 이들의 가슴에는 정의가 아니라 방향 감각을 잃은 나침반이 남았다. 정의의 언어가 다시 울렸는데, 왜 우리는 더 깊이 흔들리는가.
This essay appears first in Korean, followed by the full English version below.
나는 정의(Justice)를 물 위로 드러난 빙산의 꼭대기라고, 공의(Righteousness)를 물 아래 잠긴 거대한 기반이라고 믿는다.
꼭대기는 찬란하다. 판결문, 대변인의 멘트, 정치적 수사 속에서 언제든 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나라를 떠받치는 것은 언제나 보이지 않는 쪽이다. 공의가 무너진 사회에서 정의는 금세 가면이 된다. 밖으로는 그럴듯한 윤곽을 유지하지만, 안쪽에서는 비어 있는 얼굴. 그때부터 단어는 의미를 지키지 못하고, 의미는 누군가의 편의에 맞춰 뒤집힌다. 마치 모비우스의 띠를 걷는 것처럼, ‘옳음’과 ‘그름’이 한 면 안에서 서로 섞이고, 어느 순간 경계는 사라진다. 어제의 ‘정의’가 오늘의 ‘불의’를 정당화하는 데 쓰일 때, 우리는 비로소 안다. 뿌리가 썩었다는 것을.
심리학은 이 가면의 제작법을 잘 알고 있다. ‘도덕적 자기면허.’ 정의를 오래 외쳤다는 기억이 스스로를 예외로 만드는 면허증이 된다. 나는 옳은 일을 해왔으니, 지금의 작은 왜곡쯤은 괜찮다고—그 말은 조용하고 설득력 있다. 이렇게 허가된 작은 예외들은 곧 습관이 되고, 습관은 제도처럼 굳는다. 그 다음에는 ‘인지 부조화’가 뒤따른다. 스스로를 정의로운 사람이라 믿는 이가 자신의 행동이 그 믿음을 배반할 때, 사람은 행동을 바꾸기보다 현실을 재해석한다. 단어를, 사건을, 타인을. 끝내 정의는 ‘내 편에게만 적용되는 규칙’으로 축소되고, 공의는 ‘추상적이고 비현실적인 도덕’으로 밀려난다. 도덕은 이렇게, 좋은 의도로 시작해 자기합리화의 공장으로 변한다.
뇌 안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난다. 타인의 고통을 상상하고 장기적 결과를 가늠하는 전전두엽의 회로는, 권력과 보상의 신호 앞에서 쉽게 눌린다. 복측선조체는 즉각적인 이득에 반응하고, 편도체는 우리-그들 구분에 속도를 붙인다. 공의가 희미해질수록, 우리의 판단은 가까운 보상으로 끌린다. 누가 옳은가보다 누가 이기는가, 무엇이 옳은가보다 무엇이 이득인가. 반복되는 이 선택은 신경 회로를 굳힌다. 우리는 점점 더 빨리 판단하고, 더 쉽게 분노하고, 더 능숙하게 합리화한다. 그리고 그 모든 과정을 여전히 ‘정의’라고 부른다. 표면의 언어는 살아 있고, 안쪽의 감각은 죽어간다.
철학은 한 걸음 더 깊이 묻는다. 롤즈는 ‘무지의 장막’ 뒤에서 누구나 동의할 수 있는 제도를 꿈꾸었다. 그러나 장막은 장막대로, 현실은 현실대로 흘렀다. 생득적 행운—가정, 교육, 재력, 문화적 자본—이 불평등의 방향을 이미 정한 사회에서, 정의를 외치는 제도는 쉽게 ‘형식의 공정’을 보증하는 장치가 된다. 형식이 지켜졌다는 이유만으로, 내용이 무너진 결론도 정당화된다. 기회는 절차의 이름으로 평등해지고, 결과는 노력의 이름으로 사유화된다. 그 사이에서 공의는 사라진다. 받은 것을 돌려주려는 마음, 운의 격차를 메우려는 윤리, 보이지 않는 약자와 아직 오지 않은 세대를 향한 시선. 이런 것들이 빠져나간 정의는 빈 껍데기다. 껍데기는 소리를 잘 울린다. 그래서 더 많은 박수와 야유를 부른다. 우리는 소리를 듣지만, 내용은 없다.
정치의 언어로 바꾸면 더 선명해진다. 사면은 원래 공동체의 균열을 봉합하기 위한 도구였다. 그러나 그 도구가 ‘내 편의 구제’로 인식되는 순간, 제도는 신뢰를 잃는다. 사람들은 묻는다. 왜 그들인가. 왜 지금인가. 무엇이 공익인가. 답이 설득되지 않으면, 정의라는 말은 더 이상 공동의 언어가 아니다. 사면의 취지는 ‘통합’인데, 결과는 ‘분열’이 된다. 이번 광복절 전후의 사면은 정확히 그 지점에서 사회적 감각을 자극했다. 정의의 이름으로 살았다고 믿었던 사람들—혹은 그렇게 호명되던 사람들이—형식적 절차를 거쳐 다시 복권될 때, 많은 청년이 느낀 것은 해방이 아니라 박탈감이었다. 그 감정은 이념의 문제가 아니다. 반드시 이겨야 할 누군가가 있어서가 아니다. 단지, 공정하다는 말이 실감나지 않기 때문이다. 한때 이 나라의 표어였던 “기회의 평등, 과정의 공정, 결과의 정의”는 말로는 남아 있으나, 촉감으로는 닿지 않는다. 사면이 ‘국민 통합’의 언어로 발표되었어도, 공의의 감각이 동의하지 않으면, 그 언어는 공중에서 부서진다.
이야기를 개인으로 낮춰보자. 우리 모두는 누군가의 배려, 보이지 않는 제도의 보호, 때로는 운의 편파에 기대어 여기까지 왔다. 그 사실을 잊는 순간, 공의는 우리 안에서 먼저 사라진다. 받은 것을 돌려주려는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멈추고, 덜 가진 사람의 구겨진 사정을 상상하는 능력이 줄어든다. 공감의 근력은 쓰지 않으면 약해진다. 약해진 근력으로는 멀리 보지 못하고, 멀리 보지 못하면 단기적 보상이 늘 옳아 보인다. 정치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학자, 법조인, 언론, 기업, 예술—‘정의’를 말할 수 있는 언어를 가진 자들이 먼저 공의를 잃을 때, 사회 전체의 언어가 변한다. 정확한 단어는 살아 있고, 정확한 감각은 사라진다. 그때부터 정의는 명분이 아니라 무기이고, 토론은 질문이 아니라 전투가 된다.
그러나 돌이킬 길은 남아 있다. 신경과학이 말하듯, 회로는 바뀔 수 있다. 느리게 생각하고, 타인의 고통을 상상하고, 아직 오지 않은 세대를 현재의 방 안으로 불러들이는 연습—그런 사소한 훈련이 전전두엽의 제동을 되살린다. 철학이 말하듯, 장막을 걷는 첫 동작은 ‘나의 행운’을 인정하는 일이다. 심리학이 말하듯, 자기면허의 유혹을 경계하고, 부조화를 사실로 받아들이며, 말과 삶의 간극을 줄여가는 습관을 들이는 일이다. 정치가 할 일은 선명하다. 공의가 결과가 아니라 전제가 되도록, 제도를 설계하고, 집행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사면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누구를, 왜, 어떤 공익을 위해—이 세 가지 질문 앞에 국민이 고개를 끄덕일 때만, 정의의 언어는 다시 의미를 갖는다. 그날의 사면이 많은 이들에게 “정의의 퇴행”으로 들렸다면, 다음의 사면은 “공의의 회복”으로 들리게 해야 한다. 그것이 권력의 미학이 아니라 윤리의 근본이다.
나무를 떠올린다.
좋은 열매를 오래 보고 싶다면, 잎을 닦는 일보다 흙을 돌보아야 한다. 공의는 흙이다. 눈에 잘 보이지 않고, 즉각적인 박수를 받지 못한다. 하지만 뿌리는 흙에서만 자란다. 공의가 깔리면, 정의는 굳이 외치지 않아도 작동한다. 행정의 절제, 사법의 겸손, 언론의 자제, 학문의 양심 같은 것들이 ‘보통의 수준’으로 돌아온다. 지금 우리의 과제는 큰 구호를 다시 쓰는 일이 아니다. 상처 난 신경을 다시 연결하고, 무뎌진 공감을 단련하고, 잊힌 행운을 인정하는, 느리고 정확한 회복이다. 그렇게 나라의 감각이 돌아오면, 정의는 다시 얼굴을 갖는다. 가면을 벗겨낼 필요조차 없어진다. 얼굴이 돌아오면, 말이 제 자리를 찾는다. 그리고 그때 비로소, 우리는 알게 된다. 사면도, 용서도, 정의도, 모두가 뿌리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Justice Without Roots: The Mask of a Nation
It was the morning of Liberation Day. Across the news ticker, a few presidential signatures changed human destinies and rewrote a fragment of our collective memory. Pardon. The word carried the scent of magnanimity, yet the air felt strangely cold. Cho Kuk and Yoon Mee-hyang—once faces that rallied behind the banner of justice—were being called back into position. In that moment, we saw how quickly the expression of the word can shift. The surface glittered, but where was the foundation beneath? Officially, the pardons were issued for “national unity,” yet what lingered for many was not reconciliation but a compass gone astray. The language of justice rang out again, and still, we were left disoriented.
I’ve long thought of justice as the visible tip of an iceberg, and righteousness as the vast submerged mass that holds it up. The tip dazzles. It can be summoned into speeches, court verdicts, newspaper headlines. But what sustains a society is always the part unseen. When righteousness collapses, justice becomes a mask—maintaining a pleasing outline while the face beneath grows hollow. At that point, the word no longer holds its meaning; its meaning bends to the convenience of those in power. Like walking along a Möbius strip, “right” and “wrong” twist together on the same surface until the boundary between them disappears. Yesterday’s “justice” becomes the justification for today’s injustice. That is when you know: the root has rotted.
Psychology has a name for this mask-making: moral licensing. Those who have long proclaimed justice may feel they’ve earned exceptions for themselves. “I have done enough good; a little compromise won’t hurt.” The logic is quiet, persuasive. But those exceptions congeal into habits, and habits harden into systems. Then comes cognitive dissonance. When someone who believes themselves just finds their actions betraying that belief, they are more likely to reinterpret reality than to change their behavior. They rename, reframe, and rationalize—events, words, even people. Soon, justice shrinks into a rule applied only to one’s own side, and righteousness is dismissed as a lofty, impractical ideal. Thus, morality begins with noble intentions and ends as a factory of self-justification.
The same transformation happens in the brain. The circuits in the prefrontal cortex that imagine another’s suffering and foresee long-term consequences are easily overridden by the brain’s reward systems. The ventral striatum lights up for immediate gain; the amygdala accelerates the division between “us” and “them.” The weaker our sense of righteousness, the more our judgments are drawn toward short-term wins and tangible rewards. “Who is right?” becomes “Who won?” “What is right?” becomes “What benefits me?” This repeated choice shapes neural pathways. We learn to judge quickly, anger readily, rationalize skillfully—and to call all of it justice. The word lives on; the feeling dies.
Philosophy presses even deeper. John Rawls imagined the “veil of ignorance,” behind which we could design a system everyone would accept. But the veil remained, and reality moved on. In a society where birth—family, education, wealth, cultural capital—has already stacked the deck, a justice system can easily become a device for laundering inequity under the name of “procedural fairness.” Opportunity is declared equal in process; outcomes are privatized in the name of merit. In the gap, righteousness vanishes: the impulse to return what one has been given, the ethic of narrowing the gap of luck, the gaze toward invisible others and generations not yet here. Without this, justice becomes an empty shell. And empty shells echo well—they draw applause and jeers alike—but inside, there is nothing.
In political terms, it is starker. Pardon was meant as a tool to mend fractures in the community. But when it is perceived as a rescue for one’s own allies, the institution loses trust. People ask: Why them? Why now? What public good? Without persuasive answers, the language of justice ceases to be a shared vocabulary. A pardon’s intent may be “unity,” but the result can be “division.” The recent Liberation Day pardons struck that nerve: for many young Koreans, the feeling was not liberation but dispossession. It is not a question of ideology, nor a demand for eternal punishment. It is simply that the promise of fairness no longer feels tangible. The old slogan—“equal opportunity, fair process, just outcomes”—remains in words, but not in touch. Announce a pardon in the language of national unity, and if the public’s sense of righteousness does not agree, the words shatter in midair.
Let’s bring this down to the individual. All of us have leaned on someone’s generosity, on the invisible protections of systems, sometimes on the bias of fortune itself. The moment we forget this, righteousness dies within us first. The natural movement of giving back slows; the muscle for imagining another’s cramped circumstances weakens. Empathy, like any muscle, atrophies without use. And with it gone, we stop looking far ahead. The short-term win feels like the only win. This is not only the fault of politicians. Scholars, judges, journalists, executives, artists—when those who have the language of justice lose the substance of righteousness, the language of a whole society changes. The right words live on; the right sense vanishes. Justice becomes a weapon, debate becomes battle.
But the road back still exists. Neuroscience says circuits can be rewired. Slow your thinking, imagine another’s pain, invite future generations into today’s room—such small habits reawaken the braking power of the prefrontal cortex. Philosophy says the first step to lifting the veil is to admit one’s own luck. Psychology says: beware the lure of moral licenses; accept dissonance as truth; reduce the gap between words and life. Politics, too, has a clear task: make righteousness the premise, not the byproduct, of justice. In pardons most of all—Who? Why? For what public good? Only when citizens nod to all three does the language of justice regain its meaning. If the last pardon sounded like “the regression of justice,” the next must sound like “the restoration of righteousness.” That is not the aesthetics of power; it is the foundation of ethics.
I think of a tree. If you want its fruit for a long time, you tend the soil, not the leaves. Righteousness is soil. It is rarely seen, rarely applauded. But roots grow only in soil. When righteousness lies beneath, justice works even without being shouted. Administrative restraint, judicial humility, media self-discipline, academic conscience—all return to the ordinary level. Our task now is not to rewrite grand slogans, but to reconnect severed nerves, strengthen dulled empathy, acknowledge forgotten fortune—in other words, to restore the nation’s sense. When that sense returns, justice regains its face. There is no need to tear off the mask; the mask dissolves. And then, at last, we know: pardon, mercy, justice—they all begin at the root.